- Today
- Total
목록Category (320)
개발하는 고라니
# ORM과 JPA - JPA(Java Persistence API)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Java 언어를 통해 DB와 같은 영속 계층을 처리하고자 하는 스펙이다. JPA를 이해하기 위해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라는 기술을 선행해야 한다. ORM을 Java 언어에 맞게 사용하는 '스펙'이다. 따라서 ORM이 조금 더 상위 스펙이되고, JPA는 Java 언어에 국한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JPA는 단순한 스펙이기 때문에 해당 스펙을 구현하는 구현체마다 회사의 이름이나 프레임워크의 이름이 다르게 된다.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있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Hibernate'이다. 기존 EJB에서 제공되던 Entity Bean을 대체하는 기술이다. ORM이..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브랜드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교촌치킨의 메뉴 중 '교촌라이스세트'라는 메뉴의 이미지..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가게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UploadController를 생성해 이미지 파일 di..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가게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저번 포스팅에서 푸라닭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의 모든..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가게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저번 포스팅에서 푸라닭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의 이름..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가게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이전 게시물에 이어 업로드 함. 2020/12/14 - ..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교재를 1.5회(?) 완독 후, 스스로의 힘으로 게시판을 구현해보았다. 물론 미흡한 점이 심심찮게 발견되어 수정의 수정을 거듭했다. 그렇게 3~4주를 보내고 나니 다음엔 무엇을 만들어볼까 하던 차에, 문득 떠오른 것이 있다. '무수히 많은 치킨 가게가 있고, 그 많은 메뉴들을 한 곳에서 모아보면 어떨까?' 그래서 프로젝트라고 하기엔 뭣하지만 원하는 작업을 구현해보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배워가고, 알던 내용이 있으면 다시 되새기는 목적을 가지고 시도해보려 한다. 먼저 '푸라닭' 사이트에서 메뉴 정보들을 크롤링해 뿌려주는 식으로 시작해보고 결과가 괜찮으면 다른 브랜드들도 시도해보는 식으로 점차 넓혀가겠다. * 개발에 있어 맨 땅에 헤딩을 할 땐 어디서 부터 시작을 ..
# 참조와 복제 > 참조를 알아보기 전 '복제'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 복제 > 전자화된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복제이다. 현실의 사물과 다르게 전자화된 시스템 위의 데이터를 복제 하는데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바로 이러한 특징이 소프트웨어를 기존의 산업과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일 것이다. 프로그래밍에서 복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var a = 1; var b = a; b = 2; console.log(a); // 1 > 결과는 당연하다. 값을 변경한 것은 변수 b이기 때문에 변수 a에 담겨있는 값은 그대로이다. 변수 b의 값에 변수 a의 값이 복제된 것이다. > var b = a; 일 때, a는 1을 가리키고 있다. 이 때 b는 a의 주소를 가리키는 것이 아닌 a의 데이터를 다른 주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