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CI/CD (4)
개발하는 고라니

※ Environment Platform: GCP(Google Cloud Platform) OS: Debian GNU/Linux, 10 (buster) Docker: 20.10.8 JDK: open-jdk 11 저번에 젠킨스를 설치했었는데, 로컬환경(Windows)에 도커 없이 war를 배포하는 것으로 설치했었다. 이번엔 좀더 나아가 GCP(Linux)에 Docker를 이용해 Jenkins 이미지를 받아 구동하고, 깃헙을 연동하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최종 목표인 Intellj에서 코드작업 후 repository로 push 하면 자동으로 젠킨스가 빌드해주게끔 한다. Linux에 도커를 설치하는 과정은 따로 다루지 않겠다. Docker로 Jenkins Install Jenkins - Official Ima..

이번 포스팅에서는 젠킨스의 Pipeline 기능의 모든 권장 사항을 다룬다. 개요 Pipeline 시작 - Blue Ocean이나 classic UI 또는 SCM을 통해 젠킨스 파이프라인 정의하는 방법 Jenkinsfile을 만들고 사용하기 브랜치 작업과 PR Docker와 Pipeline - Jenkins가 어떻게 Docker Container를 부를 수 있는지 공유된 라이브러리로 Pipeline 연장하기 Pipeline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개발툴을 사용하기 Pipeline Syntax로 작업하기 Jenkins Pipeline 젠킨스 파이프라인이란 젠킨스를 사용하여 CD 파이프라인울 구현하고 통합하는 것을 지원하는 플러그인의 집합이고, 파이프라인은 파이프라인 DSL 굼누을 통해 코드로 간단하거나..

현재 혼자 프로젝트를 하는 거라 지속적 통합(CI)은 굳이 필요하지 않지만, 지속적 배포(CD)는 절실히 필요성을 느껴 CI/CD를 공부하는 중이며, tool은 Jenkins를 써보려 한다. 우선 Jenkins와 친해지기 위해 간단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Jenkins로 빌드하는 과정을 경험해보자. 목차 Spring Boot project 생성 Github Repository 생성 후, boot Project 연동 Jenkins Job 생성 Jenkins Job 빌드 스프링 부트 생성 방법은 많지만 대표적으로 1) start.spring.io 에서 jar파일을 받아 생성하는 것과 2) IDE에서 생성하는 방법 이 있는데 나는 IntellJ에서 생성할 것이다. - Java 11 - Gradle ..

기존에 개발을 하며 종종 들어보거나 무엇인지 대충 찾아본 적은 있다. Continous Integration, Continous Delivery or Continous Deployment... 지속가능한 통합, 지속가능한 배포... 이정도로만 알고있었다. 심지어 처음에 들었을 때 '이걸 왜 쓰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었고 지금 생각해보면 경험 부족으로 인한 것이었다. 지금은 그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총 3개의 서버(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있고, 이를 배포하기 위해 GCP(Google Cloud Platform)를 사용하는데 매번 다음의 과정을 거쳤다. 1) IntelliJ에서 Code 작업 2) git add . 3) git commit 4)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