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상속 (2)
개발하는 고라니
추상화 캡슐의 사용되는 공통분모를 잘라내는 것 (공통 분모의 캡슐화). 객체에서 공통된 행위나 속성을 추출하는 것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속 : 공통 부분을 뽑아 부모 클래스로 만드는 것 인터페이스 : 상속에서 나아가 개념(기능)만 추출하는 것 추상화로 만들어진 클래스는 다음 2가지의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추상 클래스는 뼈대이므로 절대로 실체화(객체화)되어서는 안된다. 공통 분모이기 때문에 그것만 가지고 객체화 하려고 했던게 아니므로 추상 클래스는 뼈대이므로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메서드를 가질 수 있다. 자식 클래스가 실수로라도 부모의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게 하고, 동시에 반드시 자신의 것으로 구현해서 사용하라는 강제성 부여 가능 추상화는 Is A 상속이랑 비슷하나, 위의 2가지 특징이 다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oKZNT/btqZpfSGaNA/xdnwScFudio0r5O6HNNKwk/img.png)
상속이라는 단어는 아마 대부분 알 것이라고 생각된다. Java에서의 상속은 무엇일까? 자식 클래스가 상속받고 싶은 부모 클래스를 선택해서 물려받는다. 이때 상속받는 클래스 = 자식/하위/서브 클래스, 상속을 해주는 클래스 = 부모/상위/슈퍼 클래스 라고 한다. Java에서는 'extends' 키워드를 사용해 상속을 선언한다. 자식 클래스가 상속을 하게되면 부모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물려받는다(능력 및 기능을 제공받는다). 하지만 부모 클래스 멤버의 접근 제어자가 'private', 'default'라면 상속은 받을 수 있지만 접근은 어렵다. 그리고 자식 클래스가 여러 부모로부터 다중 상속받는 것은 불가(단일 상속)하다. 반대로 부모 클래스는 여러 자식 클래스에게 상속을 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Has ..